6개월 동안 공유 오피스를 사용한 경험과 그 후 개인 사무실을 차리게 된 과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많은 분들이 재택 근무를 하고 계시지만, 저 역시 집에서 일하다 보니 업무 효율성에 대한 고민이 있었습니다. 


공유 오피스 도전

 그래서 연초에 공유 오피스로 나가게 되었죠?? 이 경험을 통해 느낀 장단점, 비용, 그리고 현재 사무실을 차리는 과정까지 상세히 공유해드리겠습니다.


A visual representation contrasting a coworking office setup and a private office setup. The left side shows a compact coworking desk surrounded by shared spaces, including a snack bar and meeting rooms. The right side features a personalized private office with a spacious desk, bookshelves, and custom lighting. The center displays a cost comparison chart and decision points. The design is a clean, modern infographic style with muted colors


공유 오피스의 장점

1.1 비용 효율성

 공유 오피스의 가장 큰 장점은 비용 효율성입니다. 제가 사용한 공간은 월 60만원에 한두 평 정도의 개인 공간을 제공받았습니다. 이는 일반적인 원룸 월세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모든 관리비가 포함된 가격이라는 점에서 매력적입니다.


 예를 들어, 12평 규모의 일반 사무실을 월세 75만원에 계약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여기에 관리비(평당 2만원 기준 24만원), 인터넷, 정수기, 기타 설비 비용 등을 더하면 월 100만원을 훌쩍 넘어갑니다. 반면 공유 오피스는 이 모든 것이 포함된 가격이라 실질적으로 더 저렴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2 유연한 계약 조건

 두 번째 장점은 입퇴실이 자유롭다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공유 오피스는 월 단위 계약이 가능해 사업의 불확실성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제 경우 1년 계약으로 약간의 할인을 받았지만, 6개월 만에 퇴실하게 되어 위약금을 물었습니다. 그럼에도 일반 사무실에 비해 계약 조건이 유연한 편입니다.


1.3 쾌적한 환경

 세 번째 장점은 깔끔하고 현대적인 환경입니다. 대부분의 공유 오피스는 카페테리아 스타일의 인테리어, 스낵바, 빔 프로젝터가 구비된 회의실 등 쾌적한 시설을 제공합니다. 청소 서비스도 포함되어 있어 항상 깨끗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습니다. 이는 외부 미팅 시 좋은 인상을 줄 수 있는 요소이기도 합니다.


공유 오피스의 단점

2.1 제한된 개인 공간

공유 오피스의 첫 번째 단점은 개인 공간이 매우 협소하다는 점입니다. 한두 평 정도의 공간에서는 외부 인원과의 미팅이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물론 공용 회의실을 예약해 사용할 수 있지만,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개인 공간의 부족함은 큰 단점으로 느껴졌습니다.


2.2 이용 시간의 제약

두 번째 단점은 이용 시간에 제약이 있다는 것입니다. 24시간 이용이 가능 하다고는 하지만, 관리 인력이 근무하지 않는 시간대(주말이나 야간)에는 일부 서비스 이용에 제한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이용했던 공유 오피스의 경우 주차 등록을 관리자가 직접 해야 했기 때문에, 관리자가 없는 시간에는 외부 인원과의 미팅 시 주차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2.3 외부인 출입 제한

세 번째 단점은 외부인 출입이 제한적이라는 점입니다. 보안을 위해 지문 인식 등의 방식으로 출입을 관리하다 보니, 외부 인원과 미팅 시 매번 문을 열어주러 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이는 업무 효율성을 저하 시키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개인 사무실 설립

공유 오피스 사용 후, 저는 결국 개인 사무실을 차리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비용들이 많이 발생했습니다. 다음은 제가 12평 규모의 사무실을 계약하고 꾸미는 데 들어간 비용입니다:

  • 월세: 75만원
  • 관리비: 약 24만원 (평당 2만원 기준)
  • 인테리어 및 집기:
    • 책상 및 가구: 약 400만원
    • 페인트 작업 (3면): 50만원
    • 조명 작업: 150만원
  • 기타 설비 (인터넷, 정수기 등)

처음 예상했던 300-400만원을 훨씬 넘어 총 700-800만원 정도의 비용이 들었습니다. 이는 공유 오피스 사용 시 월 50만 원에서 개인 사무실 사용 시 월 120만 원으로 고정비가 증가했음을 의미합니다ㅠㅜㅠㅜㅠㅠㅠ


향후 계획

공유 오피스는 혼자 일하는 경우에 적합하며,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사업 확장이나 외부 인원과의 잦은 미팅이 필요한 경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개인 사무실은 초기 비용이 많이 들지만, 장기적으로 더 큰 성장을 위한 투자라고 생각합니다.


  1. 소규모 클래스 운영: 원데이 클래스 형식으로 엑셀, 유튜브 등의 주제로 집중 강의를 제공 해볼까 싶습니다..
  2. 직장인 고민 상담: 개인적인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여 직장인들의 고민 해결을 돕고자 합니다.

이러한 활동들을 통해 월 100만원 이상의 추가 수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8월 중순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 드립니다.


요약

  • 공유 오피스 장점: 비용 효율성, 유연한 계약, 쾌적한 환경
  • 공유 오피스 단점: 협소한 개인 공간, 이용 시간 제약, 외부인 출입 제한
  • 개인 사무실 설립 비용: 예상보다 높음 (인테리어, 집기 등 포함 700-800만원)
  • 향후 계획: 소규모 클래스, 정기 모임, 직장인 상담 서비스 제공

여러분의 상황에 따라 공유 오피스와 개인 사무실 중 적합한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사업 초기 단계라면 공유 오피스가, 사업 확장을 고려 중이라면 개인 사무실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항상 장단점을 잘 고려하여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좀 섣불렀던 것 같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