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창업과 지식재산권의 중요성
대기업 연구소에서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창업을 준비한다고 했을 때, 창업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지식재산권입니다. 특히 연구소라는 특성은 회사 입장에서 걸고 넘어지기 딱 좋은 포지션이기도 합니다.
그럴수록 특허, 상표, 디자인권 등을 통해 사업 아이디어를 보호하고 법적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사업의 성패를 가르는 가장 기본이 됩니다.
2. 직무발명과 경업금지 조항
대기업 근무 시 서명했던 계약서의 주요 내용을 다시 검토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제는 당시에는 그냥 써진대로 싸인 했을 경우가 높고, 대기업 일수록 다양한 선례를 통해 완벽한 계약서를 작성 해두었을 수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직무 발명 규정과 비밀 유지 조항은 창업 과정에서 더더 중요하게 작용하기 쉽습니다. 그런데 겸직이나 전직 약정 때문에 고민하신다면 이건 충분히 뚫어볼 만 합니다. 이미 대법원에서 겸직 인정에 대해서도 선례들이 많이 생겼기 때문에 변호사나 법무사님과 미리 준비만 해두시면 큰 상관 없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3. 법적 리스크를 줄이는 방법
당연한 말이기는 한데 기술의 변형과 새로운 특허 출원을 통해 독립적인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전문가와의 상담은 법적 분쟁을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전직, 겸직 금지 등의 계약서 위주로 소송이 걸릴텐데, 거기서 본인의 기술에 대한 '특허권'이 있다? 이건 완전 다른 게임이 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입니다. 이런식으로 문제가 생기기 전에 권리를 챙길 수 있는 법적 근거들을 하나하나 만들어 두어야 합니다.
4. 성공적인 창업을 위한 준비
기술 검토와 특허 출원, 상표 등록을 잘 하는 것이 기본이 되어야 하는데, 이 때 중요한 게 법률 상담 비용을 절대 절약이라고 생각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친다면 특허 출원, 상표 등록 이런 것도 안 하는게 맞잖아요.
그리고 시작할 때 본인의 상황을 가지고 바로 상담을 받는 것이 가장 저렴합니다. 시간이 갈수록 법적으로 불리한 행동이 섞일 확률이 크고, 그러한 행동이 있을 때마다 상담 비용은 바로바로 확 뜁니다. 절약이란 일찍 상담받고 정확하게 하는 것이 절약입니다.